주식회사 ㈜클리셀은 하버드 의과대학 팀이 10년 넘게 연구개발한 3차원 바이오 프린팅 원천기술을 상용화 하여 재생의학과 정밀 의학 분야에 필요한 3차원 인체 조직을 제작하고 이를 통하여 임상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클리셀은 생체 재료 및 조직을 사용하여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갖춘 인공 조직을 제작하여 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환자 맞춤형 장기 및 조직 출력, 약물 검사를 위한 조직 모델 출력, 손상된 조직의 재생 및 복구, 분자 및 세포 생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클리셀을 혁신적인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시키며, 생명과학, 의료, 재생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클리셀의 비전은 혁신적인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인공피부, 오가노이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생체 조직을 제작하고, 재생의료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입니다. ㈜클리셀은 생명과학 기술을 통해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고, 질병 치료에 기여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연구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2024
-
08
인공 피부 제품 출시
-
09
NOVO, CLIBOT 제품 출시
2023
-
01
U-FAB ACTIVO 바이오프린터 출시
-
01
일본 유통 계약 체결
-
09
바이오잉크 2종 제품 출시
2022
-
10
인공피부 제품 개발 - iPSC유래 인간 피부세포 분화 프로토콜 확립
-
12
3D 바이오프린터 U-FAB ACTIVO 체외진단의료기기 1등급 허가
2021
-
04
분당서울대학교병원 IRB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 통과 - 교모세포종(GBM) 3차원 바이오프린팅 암 오가노이드 모델 연구임상
2020
-
03
U-FAB 바이오프린터 개발 완료
-
06
인공피부 프로토콜 개발 완료
-
08
아토피질환 치료를 위한 3D 아토피 피부모델 및 치료제 스크리닝 키트 공동개발
-
09
Harvard Medical School에 공동연구 목적으로 U-FAB 3D 바이오프린터 공급
-
12
3D 바이오프린팅 암 오가노이드 모델 개발 ( 뇌암, 유방암, 피부암 )
2019
-
05
미국 보스턴 지역의 의사 및 교수들로 구성된 보스턴 바이오 프린팅 컨소시엄(BBC) 구축
-
05
벤처기업 인증
2018
-
01
Harvard Medical School 특허이전
-
01
창업진흥원, KOTRA 2018 한프 스타트업 서밋 참가기업 선정
-
11
하버드 의대 부속병원인 Brigham and Women’s Hospital과 Sponsored Research Agreement(연구지원협약) 체결
-
11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2016
-
12
(주)클리셀 창립

3D 바이오 프린터
㈜클리셀에서 만든 대표 3D바이오프린터인 U-FAB은
최대 15개의 노즐로 출력이 가능하며, 저점도에서 고점도까지 다양한 고분자 및 바이오잉크 출력이 가능합니다.
또한, Build-plate의 온도 조절 및 멀티 채널 Nebulizer를 통한 가교 방식, 필라멘트 Extruder를 활용한 정교한 3D구조물 출력이 가능합니다.
㈜클리셀의 3D바이오 프린터는 다채널 동시 출력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하였습니다.

바이오 잉크
연구자 맞춤형 바이오잉크 Celluid GM과 Celluid AM은 Solid 타입으로 제공되며, 연구 목적에 맞게 바이오잉크의 점도 조절 및 배양첨가제 등을 혼합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iPSC-derived Skin Cell Source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피부 원료 세포)

인공피부 제작의 필수 원료세포인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hiPSC)를 피부세포인 섬유아세포와 각질형성세포로 분화시키는 프로토콜을 확립하고,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와 각질형성세포를 제품화하였습니다.
Artificial Skin (인공 피부)

인공피부는 인간의 피부 세포들과 콜라겐과 같은 피부 구성물질들로 제작한 피부 모사체이며, 살아있는 피부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는 인공피부는 실제 피부와 매우 유사한 형태와 반응성을 가집니다. 인공피부는 동물실험을 대체하여 화장품, 약물의 독성 및 효능 테스트, 피부연구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조직공학
조직 공학은 마치 마법처럼 손상된 인체 조직의 재생 및 대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클리셀의 Celluid bioinks series를 통해 조직 공학 분야의 핵심 목표인 조직 재생과 더 나아가 조직 및 장기의 프린팅을 통해 개인 맞춤형 인공장기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
오가노이드
오가노이드는 인체 모사 장기로 3차원 구조를 가진 유기체 입니다. 오가노이드 연구는 의약품 개발, 질병 연구, 약물 평가 그리고 조직 공학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hiPSCs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체세포를 이용하여 제작하며 인체의 거의 대부분의 조직과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분화능을 가지고 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환자 맞춤형 유전자 형질 연구에 활용 가능하며, 다양한 질환 모델 및 인공 장기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 우리 연구팀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사용하여 인공피부 모델 제작 및 인공 장기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